청년미래적금 가입조건 신청 방법 혜택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신규 취업자, 소상공인 등 청년을 대상으로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기존 청년도약계좌보다 개선된 청년미래적금이라는 상품을 내년 6월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오늘은 청년미래적금 가입 대상, 혜택,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미래적금 가입 대상

청년미래적금은 청년도약계좌의 목적과 동일하게 비과세 혜택과 함께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청년을 대상으로 납입액의 최대 12%를 정부에서 지원하여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정부지원 적금 상품입니다.

  • 가입 대상 : 만 19~34세 청년
  • 조건 :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종합소득 기준 4,800만원), 가구 중위소득 200% 이하, 소상공인은 연매출 3억원 이하인 경우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지원 혜택 : 납입액의 최대 12%까지 정부에서 지원
  • 만기 : 1~3년 만기
  • 출시예정 : 2026년 6월 출시 예정
  • 납입 한도: 월 최대 50만원씩 3년간 납입 (원금 총 1,800만원)

 

청년미래적금 혜택

청년미래적금은 은행이자와 함께 납입한 원금에 대해서 6~12%의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데 청년미래적금 일반형화 우대형으로 구분됩니다.

구분 일반형 우대형
월 납입액 50만 원 (3년) 50만원 (3년)
만기 원금 1800만 원 1800만 원
정부 지원 108만 원(6%) 216만 원(12%)
만기수령 (은행이자포함) 최대2080만 원 최대 2200만 원

 

청년미래적금 우대형은 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취업 6개월 이내 가입 후 3년 근속인 경우)와 청년 소상공인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미래적금 신청 방법

청년미래적금은 예산심의 및 세법 개정 후 시중 참여은행(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등) 모집과 상품 설계 등을 거쳐 2026년 6월 출시 예정입니다.

상품 출시가 완료되면 아마도 은행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가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격 요건에서 개인소득과 소상공인 소득증명에 필요한 소득금액증명원이나 건강보험자격확인서 등을 제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