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는 목돈을 모을 때 가장 우선으로 확인하는 내용입니다.
단리와 복리의 이자계산법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 복리 금융 상품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이자계산 단리
단리는 원금에 이자가 붙는 방식으로 이자가 발생한 후에도 그 이자에는 이자가 붙지 않는 방식입니다.
◇단리 계산 방법 = 원금 * (1+이자율*기간)
예를 들어 1000만원에 5%의 단리로 10년간 예치한다고 가정하면 원금에 대한 이자는 500만원으로 원금과 이자를 합하면 1500만원이 됩니다.
동일한 조건으로 20년간 예치할 경우 이자는 1000만원으로 이자와 원금을 합하면 2000만원이 됩니다.
단리는 매년 받는 이자는 동일하며 투자 기간에 길어져도 이자 증가폭은 일정합니다.
이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기 때문입니다.
이자계산 복리
복리는 원금에 이자가 붙고 그 이자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이자에 이자가 붙기때문에 기간이 길어질수톡 이자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방식입니다.
◇복리 계산방법 = 원금 * (1+이자율)^기간
예를 들어 1000만원에 5%의 복리로 10년간 예치한다고 가정하면 원금에 대한 이자는 628만원으로 원금과 이자를 합하면 1628만원이 됩니다.
동일한 조건으로 20년간 예치할 경우 이자는 1653만원으로 이자와 원금을 합하면 2653만원이 됩니다.
아래 표에서 단리와 복리의 원리금을 확인해보면 복리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자면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구분 | 원금과이율 | 기간 | 이자 | 원리금(원금+이자) |
단리 | 1000만원 연5.0% |
10년 | 500만원 | 1,500만원 |
20년 | 1,000만원 | 2,000만원 | ||
복리 | 10년 | 628만원 | 1,628만원 | |
20년 | 1,653만원 | 2,653만원 |
복리 적용 금융상품
확실한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으려면 10년이상 장기투자를 해야만 확연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데 연금저축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길게는 30년간 투자하고 있는 연금은 복리효과로 인해 일찍 가입하면 할 수록 이자가 많이 붙어 받을 수 있는 연금이 많아지게 됩니다.
2025년 기준 복리 적용 예적금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 드림저축은행 인터넷정기예금
- 금리 : 연 3.14% (12개월 복리)
- 가입기간 : 12~36개월
- 드림저축은행 복리예금 상세정보 바로가기
2. 부림저축은행 장기우대 정기예금
- 금리 : 연 3.14% (12개월 복리)
- 가입기간 : 12~24개월
- 부림저축은행 복리예금 상세정보 바로가기
3. 하나은행 월볼리 적금
- 금리 : 우대시 연 3.0% 이상
- 가입기간 : 1~3년
- 하나은행 복리예금 상세정보 바로가기
4. 국민은행 UP정기예금(계단식)
- 금리 : 구간별 금리 상승 (최대 연 6.0%)
- 가입기간 : 1년
- 국민은행 복리예금 상세정보 바로가기